EXHIBITION
SSamzie Space 1998-2008-2018
Enfants Terribles, As Ever
2018.09.14 – 09.26
Donuimun Museum Village
(2 Songwol-gil Jongno-gu Seoul South Korea)
--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2018.09.14 – 09.26
돈의문 박물관마을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2)
기획 권주연, 류정화, 송가현, 안현숙 (가나다 순)
주최 쌈지스페이스20주년추진단, 도시공간개선단
주관 쌈지스페이스20주년추진단, 서울시 돈의문 박물관마을
기획운영위원회
협력 쌈지컬렉션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협찬 쌈지농부, 맥켈란, 래코드, 네오룩
홈페이지 ssamziespace2018.modoo.at
--
홍대 앞 문화의 근원지, 한국 대안공간의 선구, 10년전 폐관한 쌈지스페이스, 전시로 되살아난다
쌈지스페이스 개관 20주년 폐관 10주년 기념전인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이 2000년대 한국현대미술의 대표적인 대안공간이었던 쌈지스페이스의 개관 20주년, 폐관 10주년을 맞아 개최되었다. 1998년 개관부터 2008년 폐관까지 10년간 당시 20-30대 젊은 작가들에게 다양한 시도와 실험의 장(場)이었던 ‘쌈지스페이스’의 활동을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흐름을 정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여전히 유효한 젊은 대안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 쌈지스페이스 큐레이터 권주연과 안현숙, 전 경기창작센터 레지던시 프로그램 큐레이터 류정화와 송가현이 기획하였다.
9월 14일,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의 개막식이 진행되었다. 오픈 첫날부터 관람객 600여 명이 전시장을 찾았으며 오픈 3일 만에 관람객 1천여명을 돌파했다. 개막식에서는 시각예술가와 뮤지션, 타 장르 예술가들의 협업이 왕성히 이루어졌던 쌈지스페이스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면모가 재현되었다. 아티스트 듀오 김나영 & 그레고리 마스의 2011년 당시 퍼포먼스를 재해석해 재연했다. 또한 2000년 쌈지스페이스의 개관 공연과 2011년 클럽 쌤 마지막 공연에 참여한 인디밴드 어어부 프로젝트의 멤버이자,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에 선정된 백현진 작가의 공연도 열렸다.
본 전시는 쌈지스페이스의 발자취를 기념하는 동시에 한국 대안공간의 20주년을 기념한다. 1997년 IMF 구제금융위기를 전후해 귀국한 다수의 작가들이 해외에서 경험한 다양한 문화와 대안적 제도를 국내에 소개하면서 쌈지스페이스를 비롯한 대안공간 루프, 대안공간 풀, 사루비아 다방 등 많은 대안공간들이 생겨나는 계기를 만들었다.
1990년대 당시 패션기업 ㈜쌈지는 1997년 IMF 구제금융위기로 인해 국내에 불어 닥친 경제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술문화를 지원하고자 ‘쌈지 아트프로젝트’를 시작했다.‘쌈지 아트프로젝트’의 일환이었던 ‘쌈지스페이스’는 1998년 암사동 사옥을 개조해 젊은 작가들에게 작업실을 무상으로 제공한 것으로 출발해 2000년 6월에 홍대 앞으로 옮겨와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2008년 폐관하기 까지 10년 동안, 국내 최초로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20-30대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는 전시기획을 통해 그들의 실험적인 작업들이 가능하도록 지원했으며, 다양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한국현대미술이 세계적인 미술의 흐름에 발맞추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쌈지스페이스를 비롯한 대안공간이 당시 현장에서 시도와 좌절, 실수를 거듭하며 이룬 스튜디오 프로그램, 국제교류 프로그램, 전시 프로그램 등은 이후 설립된 국공립, 사립을 망라한 레지던시 기관 다수가 채택하는 결과를 낳았다. 당시 쌈지스페이스의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전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작가들은 이후 한국미술계를 이끈 주역으로 성장했다.
전시의 제목인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은 2000년 쌈지스페이스가 암사동에서 홍대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개최한 개관전 <무서운 아이들 Enfants Terribles>에서 착안했다. 프랑스어 ‘앙팡 테리블 Enfant Terribles’은 프랑스의 천재 시인이라 불리는 장 콕토 (Jean Cocteau)가 1929년 발표한 소설 제목으로, 어른이 두려워할 만큼 경이로운 능력을 보이며 기성세대의 가치관과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젊은 세대를 가리킨다. 당시 <무서운 아이들>전은 90년대 초 기존 화단과 기성세대의 가치관에 대한 불만과 불신에서 비롯한 도전, 비판, 반항, 실험을 예술과 문화로 표출한 8명의 ‘무서운 아이들’ 고낙범, 박해성, 이동기, 이불, 이용백, 이형주, 안상수, 홍성민의 활동을 조명하고 나아가 쌈지스페이스의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무서운 아이들’에 지속가능성을 뜻하는 ‘여전히’를 더했다. 자유분방하고 실험적인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했던 쌈지스페이스의 미래지향적인 정신과 가치, 그리고 쌈지스페이스를 거쳐간 작가들이 보여준 ‘무서운 아이’의 정신이 여전히 한국현대미술의 생장에 필요한 정신임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때의 무서운 아이들은 시간이 흘러 사회에서 기성 세대라 불리는 나이가 되었지만 쌈지스페이스의 폐관 후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은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