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기타] [포스터]liushen-poster-screen-hires.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35690a_f14e37692f9e4fc99d7854c031fcafc3~mv2.jpg/v1/fill/w_436,h_617,al_c,q_80,usm_0.66_1.00_0.01,enc_auto/%5B%EC%B5%9C%EC%A2%85%5D%20%5B%EA%B8%B0%ED%83%80%5D%20%5B%ED%8F%AC%EC%8A%A4%ED%84%B0%5Dliushen-poster-screen-hires.jpg)
EXHIBITION
옛날 옛적에…우나영의 한복 동화
Once Upon a Time…
Hanbok Fairytale of Wooh Nayoung
17 November 2022 – 28 February 2023
Korean Cultural Center in the Philippines
Hosted by Korean Cultural Center in the Philippines
Curated by LIUSHEN
Translated by Younjong Lee
Designed by Hong Eunjoo Kim Hyungjae
작가 소개
ARTIST Wooh Nayoung
(우나영, born 1979 in Seoul)
우나영 작가는 한복을 입은 캐릭터의 디지털 드로잉 작업을 하는 일러스트레이터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대학에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이후 게임회사의 아트디렉터로 활동한 이력은 그녀의 새로운 한국적 미학의 원천이 되었다. 작가는 다양한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여 동양과 서양의 전통과 현대 미술을 결합한 일러스트레이션을 그리며 한국화의 선과 색의 아름다움을 재해석한다.
작가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2011)>를 비롯한 <한복 동화> 시리즈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작가는 유수한 글로벌 콘텐츠 회사들과 협업하였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격전의 아제로스(2017)>, 마블 코믹스의 <스파이더맨 데드풀(2018)>, 디즈니 코리아의 <말레피센트 2(2019)>, <크루엘라(2021)>, <이터널스(2021)> 등이 폭넓은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우나영 작가의 한국의 전통복식, 한복에 대한 사랑은 남다르다. 작가는 2019년에 <흑요석이 그리는 한복이야기>를 출판하였다. 책은 사전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후원모금만 목표액의 약 9000%를 초과하는 등 대중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작가는 2019년 한복 세계화와 생활화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부터 '한복사랑 감사장'을 받았다.
Wooh Nayoung has an unrivaled position as an illustrator who works on digital drawings of characters wearing Hanbok (한복, traditional Korean clothes).
Wooh Nayoung's history of majoring in Korean painting in the university and later working as an art director for a game company has become a source of her new Korean aesthetics. With various digital tools, the artist draws illustrations that combine traditional and modern art from East and West, as well as reinterprets the beauty of the lines and colors of Korean paintings.
The artist began to receive a lot of international attention with her <Fairytale in Hanbok> series including <Alice in Wonderland (2011)>. She has also collaborated with leading global contents companies. Her collaboration with <World of Warcraft: Battle for Azeroth (2017)> of Blizzard Entertainment, <Spiderman Deadpool (2018)> of Marvel Comics, <Maleficent II (2019)>, <Cruella (2021)>, and <Eternals (2021)> of Disney Korea provoked a range of enthusiastic response.
Wooh Nayoung does not simply add oriental images to Western fairytales and myths. She creates a different worldview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wo other worlds, East and West. Her fabulous illustrations, which twist the images of fairytales stuck by the mass media into the artist's imagination, will guide viewers to the familiar and unfamiliar space-time.


전시 소개
주필리핀한국대사관과 주필리핀한국문화원이 주최, 주관하고 ㈜리우션이 기획한 <옛날옛적에…우나영의 한복동화>가 2022년 11월 17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 소재한 주필리핀한국문화원에서 진행된다. 아름다운 신데렐라부터 모험을 좋아하는 앨리스까지, 전시장에 들어서는 순간 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펼쳐진다. 어린이, 가족 및 동화를 좋아하는 이들을 위한 완벽한 연말연시 전시회이다.
한복 동화 연작
본 전시는 우나영 작가가 서양의 전통 동화를 주제로 하여 제작한 작품 약 32 점을 선보인다. 한복을 입은 앨리스, 백설공주, 엄지공주, 라푼젤 등 서양 동화의 주인공들은 먹의 필선과 종이 특유의 표면을 살리고, 물들인 듯한 채색이 어우러져 한국적인 느낌이 가득한 공간으로 성큼 들어왔다.
작품들은 한국적인 배경에 한복을 입은 캐릭터로 전환한 한국적인 표현 기법으로 서양 동화의 장면들을 묘사하였다. 전시된 작품 중 <엄지공주 (Thumbelina, 2019)>는 전통회화의 기명절지도를 차용하여 서적과 도자기, 괴석과 화훼 등의 정물과 동화 캐릭터를 한 곳에 모았다. <라푼젤 (Rapunzel, 2019)>은 장생도의 상징물들을 가져와 해와 달, 구름, 산과 바위가 어우러진 자연 풍경을 동화의 배경으로 대체하였다. 전통적인 투시도법으로 묘사한 기물들과 화원풍의 선과 채색으로 표현한 배경은 디지털 툴을 이용한 서양 동화의 한 장면이라는 설명이 없다면 관람자에게 일반적인 한국화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신데렐라 (Cinderella, 2019)>나 <백조왕자 (The Wild Swans, 2009)>, <백설공주 (Snow White, 2014)>,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같은 작품들은 서양 동화의 장면을 동양의 시공간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서양 공주와 왕자가 등장하는 서양의 공간은 동양의 버드나무가 드리워진 물가나, 소나무가 에워싸고 나비가 날아다니는 숲으로, 기둥과 공포, 단청으로 장식한 보가 이어지는 궁궐의 회랑으로 바뀌었다. 소나무와 버드나무가 화면의 가장자리를 에워싼 숲은 주인공의 무대를 받치기에 손색이 없고, 어두운 회랑의 끝에서 빛나는 광원은 도망치듯 달려 나오는 신데렐라의 스토리를 드라마틱하게 강조했다. 앨리스의 모험이 시작된 토끼굴 속 깊은 우물은 족자와 고가구가 끝도 없이 배치된 기묘한 통로로 재창조되었다.
한복의 아름다움
특히 작품 속 캐릭터들이 입은 가지각색의 한복 복식을 따르고 있어 보는 재미를 더한다. 앨리스는 흰 저고리와 푸른 색의 풍성한 치마를 입고, 버선과 고무신을 강조하였다. 눈의 여왕은 금관을 쓴 신라 여왕의 복식을, 백조왕자의 공주는 백제 복식을 하였다. 개구리 왕자의 공주는 노리개, 배씨댕기와 같은 화려한 오방색의 장신구를 착용했다. 한국의 전통 의복 문화를 고증하면서도 때로는 현대의 의복 요소를 가미하여 풀어내는 작가의 작품은 한복의 아름다움을 기반으로 매번 다채로운 테마를 시도한다.
우나영 작가가 구현한 동화 시리즈는 단순히 서양의 동화 스토리에 동양적인 이미지를 입힌 것이 아니라, 동, 서양이라는 서로 다른 두 세계의 특징을 조합해 색다른 세계관을 창조한다. 대중매체에 의해 고착된 동화의 이미지를 작가의 상상력으로 비튼 새로운 이미지는 익숙하지만 낯선 시공간으로 관람자를 안내한다.
필리핀 첫 개인전
본 전시는 필리핀에서 열리는 우나영 작가의 첫 개인전이다. 이를 기념하여 작가는 필리핀의 건국 신화인 <말라카스와 마간다의 전설 (The Legend of Malakas and Maganda)>을 수묵화풍의 신작 6점으로 옮겼다.
작가는 그 동안의 한복 동화 연작을 망라하면서 한글과 한복의 아름다움을 작품과 함께 드러내고자 하였다. 전체 12개의 동화를 주제로 한 작품들은 해당 동화와 설화의 텍스트와 함께 전시장에 어우러진다. 관람자는 전시장의 흰 벽면을 따라 작품을 보면서, 그리고 전시장 가운데에 드리워진 한복 천들 사이를 거닐면서 서로 다른 글씨체와 크기, 배열을 달리한 텍스트들을 읽게 된다. 이를 통해 우나영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한복의 색감과 촉감을 경험하고, 한글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본 전시는 해를 넘겨 2023년 2월 28일까지 지속된다.
Take a leap into the world of fantasy and wonder, and relive your favorite childhood fairytales with the exhibit Once Upon A Time… Hanbok Fairytale of Wooh Nayoung, hosted by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the Philippines. The exhibit will run from November 17, 2022 – February 28, 2023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the Philippines. From the beautiful Cinderella to the adventurous Alice, you will get to see a whole new world as soon as you step inside the exhibit hall. It is the perfect end of the year and start of the year exhibit for children, families and the young at heart.
Taking a walk down the exhibit, you’d see that Wooh Nayoung’s art depicts Korean painting in all of its varying degrees from the clothing, hairstyle, accessories, to sceneries. The fairy godmother will greet you upon your entrance, telling the tale of her adventure here in the Philippines and sprinkling you with some magic before venturing inside. Your eyes will then feast to a total of 32 illustrations around the exhibit hall, featuring reinterpreted scenes from the fairytales written by Hans Christian Andersen, Grimm Brothers, Lewis Carroll and various other authors. As you walk around, you’d feel like the main character of the fairytale as the design and story on the wall is positioned to give that experience.
In her piece entitled Alice, you’d notice that the Hanbok worn by the titular character Alice and the rabbit also bore the traditional accessories that come with it. Moreover, her characters incorporate the traditional Hanbok together with their representative colors. If you are curious, come and take a look at how fairy god mother transformed Cinderella with the elegant blue Hanbok to meet the prince! With the marvelous illustrations, your inner child will surely be brought up in this wondrous world of fairytales with a Korean twist, wishing for a happy ever after.
But that’s not all as Wooh Nayoung will also unveil her new work for the first time in the Philippines! The famous Filipino legend characters Malakas and Maganda from The Legend of Malakas and Maganda will be drawn by the artist in a traditional Korean painting style. The piece will be available only here in the Korean Cultural Center, so you can’t miss it!
Her colorful history of majoring in Korean painting, working as an art director for a game company and having an experience in Hollywood gave Korean artist Wooh Nayoung a new source for Korean aesthetics. Wooh Nayoung’s art does not simply add Korean elements into the fairytales but instead creates a new piece by combining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Western fairytale and Korean art and culture.
The exhibit Once Upon A Time, Hanbok Fairytale of Wooh Nayoung will be available from November 17, 2022 to February 28, 2023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the Philippines, 59 Bayani Rd, Fort Bonifacio Taguig City Monday – Friday, 9AM – 4PM and every Saturdays 10AM – 4PM, excluding Sundays and Holidays. There will be no entrance fee for the exhibit, but guests are advised to bring their vaccination card to present upon entry. Only a maximum of 40 people are allowed inside the building at a time for health and safety regulations.